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6

커버드콜 ETF 가 뭔가요? (Covered Call ETF) 커버드콜(Covered Call) ETF는 주식을 보유하면서 동시에 콜옵션(Call Option)을 매도하여 추가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전략을 사용하는 ETF입니다. 주식시장이 횡보하거나 약간 상승할 때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1. 커버드콜 ETF 개요▶ 개념커버드콜 전략은 기본 주식을 보유한 상태에서 해당 주식의 콜옵션을 매도하는 방식입니다.옵션 프리미엄을 통해 추가적인 수익을 얻는 대신, 주가가 크게 상승할 경우 상승 잠재력이 제한됩니다.횡보장이나 약간의 상승장에서 효과적이며, 변동성이 높은 시장에서도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합니다.▶ 장점 배당과 옵션 프리미엄을 통한 추가 수익 시장 변동성 완화 효과 일정 수준 이상의 하락 방어 가능▶ 단점 주가가 급등할 경우 상승 수익 제한 강한.. 2025. 2. 7.
절세계좌 세법개정 2025년01월(뭐 ISA, 연금저축계좌 미국 주식 배당소득세 낸다고?) 최근에 ISA계좌와, 연금저축계좌에 대해 들여다 보았는데 오늘 기사를 보다보니 대이변이 일어 난 것 같다. 모든 사람들의 반응이 아래 그림의 남자 표정과 같다. 정리 해보면 아래와  같다. 주요 변경 사항:배당소득 과세 방식 변경: 기존에는 ISA나 연금저축계좌를 통해 해외 펀드에 투자할 경우, 배당금을 전액 수령한 후 과세가 이연되어 ISA는 만기 시 9.9%의 분리과세, 연금저축계좌는 연금 수령 시 낮은 세율로 과세되었습니다. 그러나 2025년부터는 해외에서 배당소득세를 원천징수한 후 세후 배당금이 계좌에 입금됩니다. 예를 들어, 미국 주식의 경우 배당소득세 15%를 원천징수한 후 나머지 85%의 금액이 입금됩니다.과세이연 및 저율과세 혜택 축소: 이러한 변경으로 인해 배당소득에 대한 과세이연 혜택이.. 2025. 2. 7.
Docker 간단한 이미지 생성 및 서비스 노출 테스트 1. docker hub 및 서비스 배포할 vm 한개를 준비 한다. 2. 이미지 생성을 위한 파일 설정- nginx에 간단한 웹서비스를 올릴 예정이라 디렉토리 내에 아래 파일 들을 준비 한다. Dockerfile : 도커 빌드를 위한 설정파일 index.html : web서비스 홈페이지 default.conf : web서비스 기본 설정 파일images : 웹페이지에 표시할 이미지 폴더# touch Dockerfile# touch default.conf# touch index.html# mkdir images # ll total 20-rw-r--r--. 1 ec2-user ec2-user 376 Feb 5 05:10 Dockerfile-rw-r--r--. 1 ec2-user ec2-user 347 F.. 2025. 2. 5.
docker 기본 명령어 정리 Docker의 기본적인 명령어는 주로 이미지와 컨테이너 관리에 사용됩니다. 아래는 자주 사용되는 기본 Docker 명령어들입니다:1. Docker 이미지 관련 명령어docker build: Dockerfile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빌드합니다. docker build -t : docker build -t web:lastest  /home/web/ docker pull: Docker Hub에서 이미지를 다운로드합니다. docker pull  docker images: 로컬에 있는 Docker 이미지를 나열합니다. docker images docker rmi: 이미지를 삭제합니다. docker rmi docker push : 이미지를 업로드 합니다.  docker push [레지스트리주소/]저장소이름[:태그].. 2025. 2. 5.
연금저축 특징 정리, 2025년 연금저축이란?연금저축은 노후 자금을 준비하면서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장기 금융상품입니다.개인이 일정 기간 동안 납입한 후 만 55세 이후부터 연금 형태로 수령할 수 있으며, 세액공제 혜택과 연금소득세 절감 효과가 있어 은퇴 준비에 유용합니다.1. 연금저축의 종류연금저축 상품 유형특징운용 방식연금저축보험보험사가 운용, 원리금 보장보험사 운용 (안정적)연금저축펀드펀드 투자 가능, 높은 수익률 기대본인이 직접 투자 (위험·수익 변동)연금저축신탁 (신규 가입 불가)은행이 운용, 원리금 보장 상품 선택 가능은행이 운용요약:안정적인 투자를 원하면 연금저축보험적극적인 투자로 수익률을 높이고 싶다면 연금저축펀드연금저축신탁은 현재 신규 가입 불가증권사의 연금저축 펀드가 운용에 유리 2. 연금저축의 세제 혜택연금.. 2025. 2. 4.
연금저축 VS IRP 비교 연금저축펀드와 IRP(개인형퇴직연금)는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노후 대비 금융상품이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1. 연금저축펀드와 IRP 비교항목연금저축펀드 항목 연금저축펀드IRP (개인형퇴직연금)가입 대상소득이 있는 모든 사람근로자(직장인), 자영업자, 공무원, 퇴직자 등연간 납입 한도1,800만 원1,800만 원 (퇴직연금 포함 시 최대 7,000만 원)세액공제 한도연 600만 원까지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 16.5% 공제, 초과 시 13.2%)연 300만 원까지 (연금저축+IRP 합산 900만원)투자 가능 상품현금, 연금펀드, ETF예·적금, 펀드, 채권, ETF, 리츠, 실물자산 등운용 방식본인이 직접 운용 (펀드 선택)본인이 직접 운용 또는 금융사가 운용중도 .. 2025. 2. 4.
ISA계좌 특징 및 활용 방법, 2025년 기준 ISA(Individual Savings Account,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란?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는 하나의 계좌에서 다양한 금융상품을 운용하면서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계좌입니다. 예·적금, 펀드, 주식, ETF 등 여러 금융상품을 한 계좌에서 관리할 수 있으며, 일정 기간 동안 투자한 후 발생한 수익에 대해 비과세 또는 분리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1. ISA 계좌의 종류ISA 계좌는 크게  신탁형과 중개형으로 나뉩니다.일임형 ISA금융사가 고객의 돈을 신탁하여 운용가입자가 투자 상품을 직접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금융회사가 운용수익이 발생하면 비과세 또는 분리과세 혜택 적용신탁형 ISA투자자가 직접 운용 예금 운용가능, 주식 투자 불가 수익이 발생하면 비과세 또는 분리과세 혜택 적용.. 2025. 2. 4.
[Linux] 리눅스 dstat 명령어 (리눅스 cpu, mem, disk 사용률 리눅스 시스템을 운영할 때 별도로 모니터링 툴이 없다면 실시간 모니터링용으로 dstat 만한 툴이 없는 것 같아 기록으로 남겨둔다.  dstat 개요dstat은 리눅스에서 실시간 시스템 성능 모니터링을 위한 강력한 CLI 도구입니다. 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디스크 입출력, 네트워크 트래픽 등 다양한 시스템 리소스를 실시간으로 한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dstat의 주요 기능CPU, 메모리, 디스크, 네트워크, 프로세스 등의 실시간 모니터링다양한 플러그인 지원 (예: MySQL, NFS, GPU 사용량 등)vmstat, iostat, netstat, mpstat 등을 하나의 명령어로 통합출력 결과를 CSV 파일로 저장 가능 → 데이터 분석 및 로그 기록에 유용컬러 출력 지원 → 가독성이 뛰어.. 2025. 2. 3.
2025년 설 연휴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기간(무료기간) 2025년 설 연휴 기간 동안 전국의 모든 고속도로 통행료가 면제됩니다. 면제 기간은 1월 27일(월) 0시부터 1월 30일(목) 24시까지입니다. 다만, 지자체가 관리하는 유료도로는 이번 통행료 면제 대상에 포함되지 않으니 이용 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원본출처 : 국토교통부 2025년 설 연휴 고속국도 통행료 면제 1. 면제노선 :  전국 고속국도 전 노선 (민자고속국도 포함)  * 지자체가 관리하는 유료도로는 미포함 2. 면제기간 : 2025년 1월 27일 (월) 0시 ~ 1월 30일 (목) 24시 3. 면제대상 : 면제기간에 고속국도 요금소를 진출입하는 ․ 모든 차량  - 1월 27일 00:00 ~ 1월 30일 24:00 사이에 고속국도를 이용하는 모든 차량을 대상으로 통행료 면제 4. 이용방법 :.. 2025. 1. 24.
[Microsoft] Azure 자격증 갱신 방법 자격증 renew 할 때 매번 메뉴를 찾기가 힘들어 기록을 남겨 둡니다. Microsoft Azure 자격증을 갱신(renew)하려면 아래 단계를 따라 진행하면 됩니다. Microsoft는 자격증 갱신 과정을 무료로 제공하며, 갱신은 해당 자격증의 만료 6개월 전부터 가능합니다.1. Microsoft Learn 계정 로그인Microsoft Learn 웹사이트(https://learn.microsoft.com)에 로그인합니다.2. 로그인 후 자신의 프로필에서 **인증서(Certification Dashboard)**로 이동합니다.2. 갱신 가능 여부 확인대시보드에서 현재 보유한 자격증을 확인합니다.갱신 가능한 자격증은 "갱신 가능(Renewable)"이라는 표시가 나타납니다.갱신은 자격증 만료일의 6개월 .. 2025. 1.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