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T54 [LINUX] 파일의 해시값 확인하기 (md5, sha1) [LINUX] 파일의 해시값 확인하기 (md5, sha1) 리눅스에서 파일의 해시(hash) 값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md5sum 명령어와 sha1sum 명령어를 사용하면 확인이 가능하며, 해당 값으로 파일이 변조되었는지 파일의 무결성 검증이 가능합니다. 1. 먼저 테스트를 위해 파일을 생성합니다. # touch test.txt # echo "123456" > test.txt # cat test.txt 123456 2. md5 해시값을 출력 합니다. # md5sum test.txt f447b20a7fcbf53a5d5be013ea0b15af test.txt 3. sha1 해시값을 출력 합니다. # sha1sum test.txt c4f9375f9834b4e7f0a528cc65c055702bf5f24a test.. 2017. 1. 11. [LINUX] HBA카드 WWN 확인방법 1. HBA 카드의 WWN 확인 아래보이는 항목 중 port_name 이 WWN 이다 test:/root# systool -c fc_host -v Class = "fc_host" Class Device = "host2" Class Device path = "/sys/class/fc_host/host2" fabric_name = "0x500143800635faf9" issue_lip = node_name = "0x500143800635faf9" port_id = "0x000000" port_name = "0x500143800635faf8" port_state = "Online" port_type = "Unknown" speed = "unknown" supported_classes = "Class 3" su.. 2017. 1. 4. [AIX] HBA카드 WWN 및 정보 확인하기 [AIX] HBA카드 WWN 및 정보 확인하기 1. 디바이스 조회 # lsdev -Cc adapter cor0 Available 0A-00 GXT145 Graphics Adapter ent0 Available Logical Host Ethernet Port (lp-hea) ent1 Available Logical Host Ethernet Port (lp-hea) ent2 Available Logical Host Ethernet Port (lp-hea) ent3 Available Logical Host Ethernet Port (lp-hea) ent4 Available EtherChannel / IEEE 802.3ad Link Aggregation fcs0 Available 03-00 4Gb FC PCI .. 2017. 1. 3. [HPUX] HBA카드 WWN확인 하기 [HPUX] HBA카드 WWN확인 하기 1. HW 패스 확인 hp-test:/# ioscan -kfnC fc Class I H/W Path Driver S/W State H/W Type Description ==================================================================== fc 0 0/3/0/0/0/0 fclp CLAIMED INTERFACE HP AD355-60001 4Gb PCIe 2-port Fibre Channel Adapter /dev/fclp0 fc 1 0/3/0/0/0/1 fclp CLAIMED INTERFACE HP AD355-60001 4Gb PCIe 2-port Fibre Channel Adapter /dev/fclp1 fc 2 .. 2017. 1. 3. [HPUX] DNS 서버 설정 [HPUX] DNS 서버 설정 1. DNS서버 설정 # vi /etc/resolv.conf search bns1.hananet.net # domain suffix nameserver 210.220.163.82 # primary domain server nameserver 219.250.36.130 # second domain server 2. Host 찾기 순서 설정 로컬 hosts 파일 → DNS서버 # /etc/nsswitch.conf hosts: files [NOTFOUND=Continue] dns ipnodes: files [NOTFOUND=Continue] dns 2017. 1. 3. [Windows] 윈도우에서 부팅시간(uptime) 빠르게 확인하기 윈도우 서버에서 부팅시간 확인을 위해서는 이벤트뷰어 및 systeminfo 명령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빠르게 확인을 위해서 아래 두 가지 명령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1. net 명령어 C:\>net stats server 2. wmic 명령어 C:\>wmic os get lastbootuptime wmic명령의 경우 미세한 초 단위 까지 표현됩니다. 2017. 1. 3. [Windows] 윈도우에서 핫픽스 보안업데이트 정보 조회하기 윈도우 서버에서 특정 핫픽스가 적용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내컴퓨터 -> 속성 -> Windows update -> 업데이트 기록보기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특정 KB가 적용되었는지 눈으로 확인하다 보면 쥐가 날것 같다 이럴 경우 명령어로 조회하자 1. systeminfo 명령사용 CMD> systeminfo | findstr KB3083324 [246]: KB3083324 2. wmic 명령 사용 CMD> wmic path win32_quickfixengineering get installedon,hotfixid,description | findstr KB3083324 Update KB3083324 9/22/2015 2017. 1. 2. [LINUX][RHEL7] GRUB2 패스워드 설정하기 [LINUX][RHEL7] GRUB2 패스워드 설정하기 Redhat 7버전에서는 GRUB2가 사용됩니다 따라서 6버전에서와 GRUB 패스워드 설정하는 방법이 조금 달라 졌습니다. 7버전에서 grub패스워드 설정시 아래와 같이 하면 됩니다. 1. 패스워드의 해시 값 생성하기 -> 패스워드의 해시값을 생성하기 위해 grub2-mkpasswd-pbkdf2를 통해 패스워드의 해시 값을 먼저 생성합니다. # grub2-mkpasswd-pbkdf2 Enter password: ******** Reenter password: ******** PBKDF2 hash of your password is grub.pbkdf2.sha512.10000.F39E12CBCDDA05C49B0B3686B0912CF210A4CB59B1.. 2017. 1. 1. [Linux] user 생성 및 삭제 기본구문 [Linux] user 생성 및 삭제 기본구문 1. 유저관리 1) useradd : 유저생성 - 기본형식 #useradd [옵션] [유저명] -G, --groups GROUPS -d, --home-dir HOME_DIR -s, --shell SHELL -u, --uid UID -g, --gid 새로운초기 로그인 그룹 존재하는 그룹이어야함 -c, --comment COMMENT -o, --non-unique 사용중인 UID를 다른 유저에게 할당 -r, --system 100이하의 시스템 계정 생성시 -e, --expiredate EXPIRE_DATE(YYYY-MM-DD) # useradd -rou 0 -g 0 -d /root -c "test user" test # useradd -e 2015-08-31 -.. 2016. 12. 31. [AIX] NTP서버 설정방법 [AIX] NTP서버 설정 1. NTP서버 설정 NTP서버로 사용할 서버의 IP를 ntp.conf 파일에 입력합니다. # vi /etc/ntp.conf -> 서버로 설정할 IP 입력 server 192.168.0.1 prefer server 192.168.0.2 2. 설정 변경 /etc/rc.tcpip 파일에 #제거 및 "-x" 옵션을 추가하여 가동될때 slew 옵션을 적용합니다. # vi /etc/rc.tcpip -> "-x" 추가 (slew 옵션 적용) start /usr/sbin/xntpd "$src_running" "-x" 3. 서비스 재시작 서비스 재시작 합니다. # stopsrc -s xntpd # startsrc -s xntpd -a "-x" 4. 확인 # lssrc -ls xntpd 5. .. 2016. 12. 31.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