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테크32 2020년 부동산 양도소득세 기준정리 양도소득세란? 우리가 주택을 매매한 후 기존에 샀던 가격보다 가격이 올라서 더 높은 가격에 팔면 차액이 발생합니다. 그 차액을 양도소득이라고 생각하면 되고 양도소득세를 계산하는 방법은 복잡 하지만 간단하게 세율과 기준에 대해 정리해 봅니다. 국세청 사이트에 가면 아래와 같이 정의가 되어있네요 양도소득세란 개인이 토지, 건물 등 부동산이나 주식 등과 파생상품의 양도 또는 분양권과 같은 부동산에 관한 권리를 양도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이익(소득)을 과세대상으로 하여 부과하는 세금을 말합니다. 양도소득세의 특징 1. 양도소득세는 소득세 종류 하나로 분류과세 대상이다. - 소득세의 종류에는 총 8가지가 있다. 이자, 배당, 사업, 근로, 연금, 기타, 그리고 퇴직, 양도세가 있으며 이자에서 기타까지는 종합과세 .. 2020. 11. 24. 2020년 부동산 취득세 정리 2020년 8월 12일 이후 부동산 취득세 기준 기본적으로 부동산을 취득하게 되면 취득세가 발생한다 부동산의 기본적인 취득세는 4프로 이며, 주택의 경우에 한정하여 1~3프로 이며 주택수에 따라 달라진다. 1주택자 1주택의 경우 주택 매입시 취득세는 1~3 프로다 간단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3단계로 생각하면 된다. 6억 이하 1프로 6억~9억 2프로 9억 이상 3프로 주택 매입가 6억~9억 사이구간은 금액에 따라 세율이 달라진다. - 6억~9억 구간 세율계산법 : 세율 Y(%) = 취득가액 X(억원) × ⅔ - 3억원 이후 농특세와 교육세까지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은 표가 나온다. 2주택자 1주택을 보유하고 1주택을 구매하면 2주택자가 된다 이때 기존집은 중요하지 않고 두번째 구매하는 집이 조정지역일 경우 .. 2020. 11. 16.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