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먼저 해당 서버는 아래와 같이 서비스망을 쓰고 있다고 가정한다.
- 서비스망 : 10.0.0.10, GW 10.0.0.1
- 백업망 : 192.168.0.10, GW 192.168.0.1
- 연동할 대역 : 172.31.0.0/24
각각의 NIC 및 설정파일을 아래와 같이 가정한다
- 서비스망 : service, ifcfg-eth1
- 백업망 : backup, ifcfg-eth2
서비스망은 10.0.0.10, 백업망은 192.168.0.10 을 사용하는 상황에서 172.31.0.0/24 대역을 백업망 nic를 통해서 가야 한다고 가정한다. 백업망(192.168.0.0/24) 대역에 gw 주소는 192.168.0.1로 가정한다.
물론 스위치쪽에 라우팅 설정이 되어 있어야 통신 가능한 시나리오다.
서버 쪽에서는 아래와 같이 설정 해주면 된다.
1. 라우팅 설정파일 추가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route-eth2
172.31.0.0/24 via 192.168.0.1
:wq!
2. 서비스 재기동
systemctl restart NetworkManager
3. routing 테이블 확인
: 위와 같이 라우팅 테이블을 추가할 경우 서버에서 172.31.0.0/24 대역에 대해 백업망 GW인 192.168.0.1 로 트래픽을 흘려 보내게 된다.
$ netstat -rn
Kernel IP routing table
Destination Gateway Genmask Flags MSS Window irtt Iface
0.0.0.0 10.0.0.1 0.0.0.0 UG 0 0 0 eth1
10.0.0.0 0.0.0.0 255.255.255.0 U 0 0 0 eth1
172.31.0.0 192.168.0.1 255.255.255.0 UG 0 0 0 eth2
192.168.0.0 0.0.0.0 255.255.255.0 U 0 0 0 eth2
반응형
'IT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RHEL 8/9] NetworkManager를 사용할 때 IP변경 주의 사항 (0) | 2025.02.21 |
---|---|
LINUX에서 NIC CRC 오류 확인 방법 (0) | 2025.02.19 |
[Linux] 리눅스 dstat 명령어 (리눅스 cpu, mem, disk 사용률 (0) | 2025.02.03 |
[Linux] 리눅스 명령어 패키지 찾기 (0) | 2024.12.13 |
[Linux] iPerf 패키지 사용방법 (4) | 2024.1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