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LINUX

[RHEL8] Linux에서 static routing 추가하는 방법

by 양눈 2025. 3. 7.
반응형

먼저 해당 서버는 아래와 같이 서비스망을 쓰고 있다고 가정한다. 
- 서비스망 : 10.0.0.10, GW 10.0.0.1
- 백업망 : 192.168.0.10, GW 192.168.0.1 
- 연동할 대역 : 172.31.0.0/24 

각각의 NIC 및 설정파일을 아래와 같이 가정한다
- 서비스망 : service, ifcfg-eth1
- 백업망 : backup, ifcfg-eth2

서비스망은 10.0.0.10, 백업망은 192.168.0.10 을 사용하는 상황에서 172.31.0.0/24 대역을 백업망 nic를 통해서 가야 한다고 가정한다.  백업망(192.168.0.0/24) 대역에 gw 주소는 192.168.0.1로 가정한다.  
물론 스위치쪽에 라우팅 설정이 되어 있어야 통신 가능한 시나리오다. 
서버 쪽에서는 아래와 같이 설정 해주면 된다. 

1. 라우팅 설정파일 추가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route-eth2
172.31.0.0/24 via 192.168.0.1
:wq!

 

2. 서비스 재기동 

systemctl restart NetworkManager

 

3. routing 테이블 확인 
: 위와 같이 라우팅 테이블을 추가할 경우 서버에서 172.31.0.0/24 대역에 대해 백업망 GW인 192.168.0.1 로 트래픽을 흘려 보내게 된다. 

$ netstat -rn 
Kernel IP routing table
Destination     Gateway         Genmask         Flags   MSS Window  irtt Iface
0.0.0.0         10.0.0.1        0.0.0.0         UG        0 0          0 eth1
10.0.0.0        0.0.0.0         255.255.255.0   U         0 0          0 eth1
172.31.0.0      192.168.0.1     255.255.255.0   UG        0 0          0 eth2
192.168.0.0     0.0.0.0         255.255.255.0   U         0 0          0 eth2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