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RC (Cyclic Redundancy Check) 오류는 네트워크 패킷 전송 중 데이터 손상이 발생했을 때 나타납니다. 주로 케이블 문제, 네트워크 카드 불량, 스위치 포트 오류 등이 원인입니다.
RHEL 7에서 CRC 오류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1. ethtool -S 명령어로 CRC 오류 확인
NIC의 상세 통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ethtool -S <NIC명>
예제:
ethtool -S ens192 | grep -i crc
출력 예시:
rx_crc_errors: 125
- rx_crc_errors: 수신 패킷 중 CRC 오류 발생 건수
- tx_crc_errors: 송신 패킷 중 CRC 오류 발생 건수 (보통 거의 없음)
CRC 오류가 증가하는 경우:
- 네트워크 케이블 문제 (단선, 노이즈)
- 스위치 포트 또는 NIC 포트 불량
- MTU 설정 불일치
2. ifconfig 또는 ip -s link 명령어로 CRC 오류 확인
이전 버전의 Linux에서는 ifconfig에서 CRC 오류를 볼 수 있었습니다.
ifconfig ens192 | grep -i error
출력 예시:
RX packets: 100000 errors: 125 dropped: 0 overruns: 0 frame: 0 TX packets: 200000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carrier: 0
- RX errors 값이 증가하면 수신 오류 발생 가능성 높음.
RHEL 7에서는 ip -s link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ip -s link show ens192
출력 예시:
3: ens192: <BROADCAST,MULTICAST,UP,LOWER_UP> mtu 1500 qdisc fq_codel state UP mode DEFAULT qlen 1000 RX: bytes (500GB) packets 100000 errors 125 dropped 10 overruns 0 mcast 1000
TX: bytes (1TB) packets 200000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carrier 0
- RX errors 값이 증가하면 CRC 오류 가능성 있음.
3. /proc/net/dev 파일에서 CRC 오류 확인
cat /proc/net/dev | grep ens192
출력 예시:
ens192: 5000000 100000 125 0 0 0 0 0 1000000 200000 0 0 0 0 0 0
여기서 125가 수신 오류 (RX errors) 값입니다.
4. CRC 오류 원인 및 해결 방법
1) 케이블 문제 (가장 흔한 원인)
- 오래된 Cat5e 케이블을 사용 중이라면 Cat6a 이상으로 교체
- 커넥터 단선 여부 확인
- 다른 케이블로 교체 후 테스트
2) 스위치 포트 문제
- 다른 스위치 포트로 변경 후 테스트
- 스위치에서 인터페이스 상태 확인
show interfaces <포트명>
3) NIC 드라이버 또는 펌웨어 문제
- 사용 중인 드라이버 버전 확인
ethtool -i ens192
- 최신 드라이버가 있는지 확인 후 업데이트
yum update -y <드라이버 패키지>
4) MTU 값 불일치
- MTU 값이 스위치 및 다른 네트워크 장비와 다르면 CRC 오류 발생 가능
- 현재 MTU 확인:
ip link show ens1923: ens192: <BROADCAST,MULTICAST,UP,LOWER_UP> mtu 1500 ...
- MTU 변경 (예: 9000으로 설정)
ip link set ens192 mtu 9000
결론
- ethtool -S <NIC명> | grep -i crc → CRC 오류 확인
- ip -s link show <NIC명> → RX/TX 오류 확인
- /proc/net/dev → 네트워크 통계 확인
- 케이블, 스위치 포트, 드라이버, MTU 값 점검 후 해결
반응형
'IT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RHEL8] Linux에서 static routing 추가하는 방법 (0) | 2025.03.07 |
---|---|
[RHEL 8/9] NetworkManager를 사용할 때 IP변경 주의 사항 (0) | 2025.02.21 |
[Linux] 리눅스 dstat 명령어 (리눅스 cpu, mem, disk 사용률 (0) | 2025.02.03 |
[Linux] 리눅스 명령어 패키지 찾기 (0) | 2024.12.13 |
[Linux] iPerf 패키지 사용방법 (4) | 2024.1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