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 우리가 흔히 "SIM 카드"라고 부르는 플라스틱 카드입니다.
→ 통신사 가입자 정보를 담고 있어, 폰에 꽂아서 통신 서비스(LTE, 5G 등)를 이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 물리적으로 교체하거나 이동할 수 있어요. - eSIM (embedded SIM)
→ 기기 안에 내장된 디지털 SIM입니다.
→ 따로 카드를 꽂지 않고, 소프트웨어로 통신사 정보를 다운로드해서 활성화합니다.
→ 여러 통신사를 프로파일로 저장하고, 설정으로 쉽게 전환할 수 있습니다.
차이점 정리
- USIM은 물리 카드 / eSIM은 내장형 칩
- USIM은 카드 교체 필요 / eSIM은 원격으로 프로파일 전송
- eSIM은 공간 절약, 방수성 개선, 여러 회선 쉽게 관리 가능
보안성측면에서는 eSIM이 조금 더 안전 하다.
- eSIM은 물리적으로 탈취하기 어렵다
→ eSIM은 기기 안에 직접 붙어 있어서 빼낼 수가 없습니다.
→ 반면 USIM은 폰에서 빼서 다른 폰에 끼우거나 복제 시도할 수 있어요. - eSIM은 원격 관리(프로비저닝)가 가능하다
→ 통신사와 직접 연결해 인증하는 과정을 거쳐야 해서, 등록·변경 시 보안 절차가 더 빡빡합니다.
→ 하지만 이 과정도 해킹 위험이 "이론상" 존재하기 때문에 통신사의 보안 수준이 중요합니다. - eSIM은 프로파일 암호화 저장
→ eSIM 안의 정보는 강력하게 암호화돼 저장되고, 해킹이 매우 어렵습니다.
eSIM 교체 방법
1. 기기 확인
- 먼저 내 휴대폰이 eSIM 지원되는지 확인해야 해요.
Apple
- 핸드폰 : iPhone XS 시리즈 이상
- 태블릿 : iPad 11 시리즈 이상
삼성
- 핸드폰 : 갤럭시 S23 시리즈 이상, 갤럭시 Z4 시리즈 이상, 갤럭시 A 35 시리즈 이상
- 태블릿 : 갤럭시 Tab S9 시리즈 이상
2. 통신사 고객센터 or 매장 문의
- 사용하는 통신사(SK, KT, LGU+, 알뜰폰 등)에 연락해서
"USIM을 eSIM으로 변경하고 싶어요" 라고 요청합니다. - 직접 매장에 가거나, 요즘은 앱/홈페이지에서도 신청 가능한 경우가 많아요.
3. eSIM 발급받기
- 통신사에서 QR 코드나 eSIM 프로파일을 보내줍니다.
- 매장에서 종이로 QR코드를 받거나
- 문자나 이메일로 받기도 합니다.
4. 휴대폰에 eSIM 설치
- 휴대폰에서:
설정 → 셀룰러 또는 모바일 네트워크 → eSIM 추가 메뉴로 들어가서 - 받은 QR코드 스캔 또는 수동으로 코드 입력해서 설치합니다.
5. 기존 USIM 제거
- 새 eSIM이 정상적으로 등록되면
- 기존 USIM 카드는 제거하거나, 통신사 지침에 따라 반납할 수도 있어요.
반응형
'일반 >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T USIM에서 eSIM 셀프 교체 방법 - 2025.05.01 직접 수행 (0) | 2025.05.01 |
---|---|
SKT eSIM 교체 개통 방법 (0) | 2025.04.30 |
USIM 해킹대응 방안 (1) | 2025.04.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