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융소득 종합과세 기본 내용
금융소득 종합과세는 이자소득이나 배당소득이 일정 기준을 초과할 경우 다른 종합소득(사업소득, 근로소득 등)과 합산해 과세하는 제도입니다.
- 대상 소득
- 이자소득: 예금, 적금, 채권, 펀드 이자 등
- 배당소득: 주식 배당금, 펀드 배당금 등
- 종합과세 기준 금액
- 금융소득(이자소득 + 배당소득)이 연간 2,000만 원을 초과할 경우 종합과세 대상
- 2,000만 원 이하인 경우는 분리과세(세율 15.4%) 적용
- 세율 구조
- 종합과세 대상이 되면 다른 종합소득과 합산해 종합소득세율(6%~45%) 적용
- 종합소득세율은 다음과 같음:
과세표준(연간) | 세율 | 누진공제 |
1,200만 원 이하 | 6% | - |
1,200만 원 ~ 4,600만 원 | 15% | 108만 원 |
4,600만 원 ~ 8,800만 원 | 24% | 522만 원 |
8,800만 원 ~ 1억 5,000만 원 | 35% | 1,490만 원 |
1억 5,000만 원 ~ 3억 원 | 38% | 1,940만 원 |
3억 원 ~ 5억 원 | 40% | 2,540만 원 |
5억 원 ~ 10억 원 | 42% | 3,540만 원 |
10억 원 초과 | 45% | 6,540만 원 |
- 비과세 상품(예: 장기저축성 보험, ISA 등)은 종합과세 대상에서 제외
- 해외 금융소득도 종합과세 대상이므로 신고 필요
금융소득 종합과세 신고 방법
1. 신고 대상
- 금융소득(이자소득 + 배당소득)이 연간 2,000만 원 초과 시 종합과세 신고 대상
- 금융소득이 2,000만 원 이하인 경우는 원천징수(15.4%)로 끝나기 때문에 별도 신고 불필요
2. 신고 기간
- 매년 5월 1일 ~ 5월 31일
- 신고 대상 연도: 전년도(예: 2024년 금융소득 → 2025년 5월에 신고)
- 기한 후 신고 가능하지만 가산세 발생 가능
3. 신고 방법
① 홈택스 전자 신고
- 국세청 홈택스(https://www.hometax.go.kr)에서 온라인 신고 가능
- 로그인 → 종합소득세 신고 → 금융소득 입력 후 자동 계산 가능
② 세무서 방문 신고
- 거주지 관할 세무서 방문 후 신고 가능
- 필요 서류: 금융소득 명세서, 종합소득 내역, 공제 증빙서류 등
③ 세무사 대행 신고
- 금융소득이 많거나 복잡한 경우 세무사에게 대행 의뢰 가능
4. 신고 시 필요 서류
금융소득 내역서 (금융회사에서 발급 가능)
종합소득 명세서 (근로소득, 사업소득 등 포함)
공제 증빙서류 (보험료 납입 증명서, 의료비 증명서 등)
5. 종합과세 시 유의사항
- 금융소득이 종합소득에 합산되면 세율이 높아질 수 있음
→ 종합소득이 많을 경우 세율이 35%~45%까지 올라갈 수 있음 - 세액 공제 및 감면 항목을 빠짐없이 챙겨야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음→ 연금보험료,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등 공제 항목 확인
금융소득 조회 방법
→ 홈택스에서는 국세청에 신고된 이자·배당소득 자료 조회 가능
1 홈택스 조회 방법
- 홈택스 접속 https://www.hometax.go.kr
- 로그인 →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간편인증(카카오, PASS 등)
- 조회/발급 → 연말정산 → 지급명세서 등 보기
- 이자소득 지급명세서
- 배당소득 지급명세서
- 금융기관에서 국세청에 제출한 금융소득 내역 확인 가능
- 또는
- 조회/발급 → 세금 신고 납부 → 과세자료 제출 내역
- 금융기관에서 국세청에 제출한 금융소득 자료 조회 가능
홈택스에서는 국내 금융사에서 발생한 금융소득만 조회
해외 금융소득은 자동 반영되지 않음 → 직접 신고 필요
2 금융결제원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에서 조회하기
→ 금융결제원에서는 금융사별 보유 계좌, 금융소득 내역 등을 상세 조회 가능
금융결제원 조회 방법
- 금융결제원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접속
https://www.payinfo.or.kr - 로그인 →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PASS 인증 등
- 계좌조회 → 계좌통합조회
- 은행, 증권사 등 금융사별 보유 계좌 및 잔액 확인 가능
- 금융소득 상세 조회 방법
- 증권사 → 배당소득 내역
- 은행 → 이자소득 내역
금융결제원은 금융사별 상세 내역까지 확인 가능
비활동 계좌(휴면계좌)도 확인 가능
3 금융사별 개별 조회하기
- 각 은행·증권사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개별적으로 조회 가능
- 주요 금융사 앱에서는 연간 금융소득 명세서 제공
- 예) KB국민은행, 신한은행, NH농협, 삼성증권, 키움증권 등
반응형
'제테크 > 금융상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행별 파킹통장 금리 비교 - 2025.02 (0) | 2025.02.22 |
---|---|
신생아 특례 디딤돌대출 2025.02 (0) | 2025.02.22 |
현재 금 가격 상승을 기반으로 한 투자 전략은 무엇인가? (0) | 2025.02.20 |
이자 소득세와 배당 소득세 (0) | 2025.02.20 |
배당주 투자 시 세금 부담 방지 전략 (0) | 2025.02.20 |
댓글